전체 글
-
용어 ELK, EKS메모로그 2022. 9. 20. 18:00
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계속 언급되고 있는 용어인데 비슷해서 헷갈린다. 헷갈릴때 찾아보려고 메모. ELK : Elasticsearch, Logstash, Kibana의 세 가지 인기 있는 프로젝트로 구성된 스택을 의미. 각 제품이 연동되어 데이터 수집 및 분석툴로서 동작함 * Elasticsearch : 검색 및 분석 엔진 * Logstash : 로그 수집 엔진. 여러 소스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환한 후 Elasticsearch 같은 “stash”로 전송하는 서버 사이드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. * Kibana : 로그 시각화 및 관리. 사용자가 Elasticsearch에서 차트와 그래프를 이용해 데이터를 시각화. EKS : 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. 아마존 A..
-
5W1H메모로그 2022. 4. 20. 09:03
- 5W1H 기법은 대단히 조직화된 아이디어 창출기법으로, 준비된 문제에 대하여 질문을 함으로써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. - 이 기법은 팀이 문제나 기회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고 의문을 던져볼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. - 문제에 대한 모든 관점을 고려하여 그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사용한다. - 개선 아이디어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공정 또는 제품을 검토하고 탐구하려 할 때 - 잠재적인 문제 또는 기회의 돌파(breakthrough)를 찾으려 할 때 - 팀이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촉진시키려 할 때 - 간과한 안건이나 원인을 발견하려 할 때 - 브레인 스토밍 : 브레인스토밍 회의를 할 때 아이디어 발상을 촉진하기 위해 5W1H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. WHY 왜 그것이 필요한가? WHAT 그 목적은 무엇인가? ..
-
-
-
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것인가메모로그 2020. 1. 29. 17:26
1.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해야 할 질문들 - 지금 하는 프로젝트는 누가 원하는 것인가 - 지루한 분석 작업을 꼭 해야 하는가 - 분석해야 할 명제가 확실한가 2. 프로젝프를 하는 중에 해야 할 질문들 데이터의 육하원칙이 모두, 혹은 조금이라도 푸함되었는지 확인해보아야한다. Who → 고객 정의 - 내가 분석하고 있는 기업, 제품, 서비스의 고객은 누구인가? - 고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집중하기 보다는 그 고객 그룹이 갖는 행동 특성을 정의하는데 더 집중하는것이 좋다. - 고객 집단화, 세분화의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. When → 시계열 변화, 프로모션 시점 - 데이터가 시간의 흐름을 반영하면 트렌드나 이상 신호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. - 매출하락 원인 파악시, 전달 대비 오전인지 오후인지, 특정..
-
PowerMockup has fired an exception 알림창 해결 방법메모로그 2019. 10. 16. 08:31
윈도우즈 업데이트중 .NET 관련 업데이트 후 PPT를 실행하면 자꾸 알림창이 뜨고 파워목업 실행도 안되서 이메일 문의 하여 해결 하였다. (Thank you Andreas Wulf) PPT 실행 후 파워목업 관련 에러창(PowerMockup has fired an exception) 뜰때 : 작업표시줄 > 검색 > "uac" >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창에서 "알리지 않음"으로 설정 > 재부팅(중요!) ※ 이미 "알리지 않음"으로 되어 있는데도 발생한다면 항상알림으로 변경 후 재부팅 ->" 알리지 않음"으로 설정 변경 후 재부팅